경기도 남양주시의 왕숙 지구는 경기도 내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로 조성되는 대규모 도시개발 프로젝트입니다.
최근 진행된 착공식을 시작으로, 이 지역은 6만6300호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,
이 중 2만5000호는 청년과 무주택 서민을 위한 공공분양주택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.
🏗️ 개발의 규모와 목표
왕숙 신도시의 총 면적은 약 1177만㎡에 달하며, 이중 약 3만9500호가 공공주택으로 지정됩니다.
이 신도시는 남양주 진접읍, 진건읍, 퇴계원읍, 일패동, 이패동 일대에 걸쳐 위치하고 있습니다.
1지구
|
||||
구역
|
단지명
|
세대수
|
입주
|
시공사
|
A1
|
미정
|
629세대
|
2027년 3월
|
미정
|
A2
|
미정
|
608세대
|
2027년 3월
|
미정
|
A19
|
미정
|
1,015세대
|
2030년 1월
|
미정
|
A20
|
미정
|
961세대
|
2028년 12월
|
미정
|
A24
|
미정
|
592세대
|
2027년 3월
|
미정
|
B1
|
미정
|
560세대
|
2027년 3월
|
미정
|
B2
|
미정
|
587세대
|
2027년 4월
|
미정
|
B17
|
미정
|
499세대
|
2027년 3월
|
미정
|
S11
|
미정
|
546세대
|
2029년 12월
|
미정
|
S12
|
미정
|
391세대
|
2029년 12월
|
미정
|
2지구
|
||||
구역
|
단지명
|
세대수
|
입주
|
시공사
|
A1
|
미정
|
803세대
|
2026년 12월
|
미정
|
A3
|
미정
|
686세대
|
2026년 12월
|
미정
|
A4
|
미정
|
787세대
|
2028년 12월
|
미정
|
A6
|
미정
|
468세대
|
2028년 7월
|
미정
|
🌱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에 중점
신도시 개발 계획은 탄소배출을 줄이고, 직주근접이 가능한 컴팩트시티로의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.
이는 경기도의 핵심 정책인 RE100(재생에너지 100% 사용 캠페인)과 탄소중립을 반영한 것입니다.
또한, 지분적립형 주택 도입도 고려 중 입니다.
🌟 남양주시의 미래 전망
왕숙 신도시의 개발은 남양주시의 인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.
현재 73만 명인 남양주시 인구는
신도시 조성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(GTX-B) 건설이 완료되는 2035년경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.
🏘️ 분양 계획과 입주 목표
분양은 내년 하반기에 시작될 예정이며, 왕숙2는 2026년 12월, 왕숙은 2027년 3월 첫 입주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.
🔍 왕숙 신도시, 도시 발전의 새 지평
왕숙 신도시는 경기도 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신도시로서,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이는 남양주시뿐만 아니라 경기도 전체의 주거 환경과 인프라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